AWS 3

백엔드 사전 지식 (2) - 백엔드 배포 방법부터 클라우드 서비스까지

1. 배포 방법1) 롤링 배포: 특정 개수의 서버들을 돌아가며 배포하는 롤링 배포: 도커 같은 컨테이너 기술 등 특히 앤서블을 잘 사용하면 구현 가능하다.2) 블루 그린 배포: 똑같은 서버 인스턴스를 띄우고 로드밸런서 설정을 바꿔버리는 블루 그린 배포3) 카나리 배포: 전체 서버의 특정 비율만큼 배포해보고 문제 없는 경우 점점 배포를 늘려가는 방식* 컨테이너란?: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필요한 실행 환경을 독립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기반 환경 또는 다른 실행 환경과의 간섭을 막고 실행의 독립성을 확보해주는 운영체제 수준의 격리 기술 * CI / CD1) CI : 저장소에 코드가 반영되는 것을 말한다.: Github Action , Jenkis 등을 이용한다.2) CD: 실제 프로덕션 환경까지 변경된 코드가..

BackEnd Skils 2024.11.26

Front-end 배포 (3) - 개발용과 실제 서비스용 배포 분리하기

회사에서 만든 웹 서비스를 Github Actions와 S3 + Cloudfront 로 배포를 했는데 이 때 새로 오신 사수 개발자분께서 개발용 서버와 실제 서버를 분리해주셨고 그에 맞춰 배포도 다르게 가야 한다고 말씀해주셔서 배포 했던 것을 간단히 수정하고자 했다.  1. 기존 구조gitflow를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dev를 default로 잡고 이 곳에 push 해주었다. 그리고 main에 PR을 올릴 때 CD actions가 수행되어 배포가 되게 하였다.1) branch 구조feature/#123 -> dev (default branch) -> main 2) CD Scriptname: CDon: push: branches: - main pull request: branch..

FrontEnd Skils 2024.07.01

Front-End 배포 (1) - AWS S3 + CloudFront

회사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중 배포를 먼저 해달라는 대표님의 요구사항이 있었고 이를 위해 배포를 먼저 진행하게 되었는데 어차피 프론트엔드 나 혼자이기 때문에 내가 배우고 싶었던 AWS S3와 Cloudfront를 활용해서 배포를 하고 추후 Github Actions로 CI/CD를 구축해보았다. CI/CD 구축은 2번째 포스팅때 하기로 하고 일단 AWS S3와 CloudFront를 활용해서 배포를 해보고자 한다. 1. AWS S3 + Cloudfront를 선택한 이유 : 현재 회사의 프로젝트는 Vite 기반 React로 이루어져 있고 CSR 기반이기 때문에 정적 리소스를 대규모로 특화 되어 있는 S3를 선택했고 또한 회사에서 이미 AWS 환경을 구축한 상태이기 때문에 한 곳에 모아두는 것이 나중에 유지 ..

FrontEnd Skils 2024.04.04